안녕하세요 시간가는줄 모르고 살다보니 벌써 사전투표기간이
내일로 다가왔어요!! 국민의 소중한 권리를 꼭 행사하기를 바라면서
오늘은 사전투표 방법과 투표장소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!!

사전투표, 왜 할까요? 사전투표 방법까지 완벽 정리!
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권리가 있습니다. 하지만 바쁜 일상이나 갑작스러운 일정으로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경우가 많죠. 이런 상황에서 유권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가 바로 사전투표입니다. 이 글에서는 사전투표를 하는 이유와 사전투표 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.
사전투표란?
사전투표제도는 선거일 전에 미리 투표를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 별도의 신고 없이 사전투표 기간(2025.5.29(목)~2025.5.30(금) 중에 가까운 사전투표소를 방문해 누구나 편리하게 투표할 수 있습니다.
▼사전투표소 찾아보기 바로가기 클릭 ▼
https://buly.kr/6BwobWC
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
선거통계시스템 작업 안내 선거통계시스템의 안정적 서비스를 위한 서버점검 작업으로 일부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 ☞ 작업일시 2023. 9. 26.(화) 18:00 ~ 9. 27.(수) 09:00
info.nec.go.kr
사전투표를 하는 이유
선거일에 투표가 어려운 경우
여행, 출장, 근무 등 개인 사정으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투표일인 **6월 3일(화요일)** 에 투표할 수 없다면
사전투표가 최고의 선택입니다.
줄 서지 않고 빠르게 투표
사전투표소는 전국에 분산되어 있고 시간대별 유동인구도 적어 혼잡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장소에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가능
관외선거인이라도, 주소지와 다른 지역에 있어도 모든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국민의 권리 행사
바쁜 일상 속에서도 투표권을 포기하지 않기 위해 사전투표를 이용하는 시민의식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.
사전투표 방법
사전투표는 본인의 **주민등록지(주소지)**에 따라 절차가 조금 다릅니다.
🔹 관내선거인(주소지가 해당 사전투표소 관할 구·시·군 내)
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 제시
본인확인(서명 또는 손도장)
투표용지 2장(지역구 + 비례대표) 수령
기표소에서 투표
투표지를 투표함에 바로 투입
🔹 관외선거인(주소지가 다른 지역)
신분증 제시
본인확인
투표용지 2장과 회송용봉투 수령
기표소에서 투표 후 회송용봉투에 투표지를 넣고 봉함
회송봉투를 투표함에 넣음
※ 관외선거인은 회송용봉투 사용이 필수입니다. 봉투에 봉하지 않으면 투표가 무효 처리될 수 있습니다.
사전투표 일정과 시간
기간:2025.5.29(목)~5.30(금)
시간: 오전 6시 ~ 오후 6시
장소: 전국 모든 읍·면·동 사전투표소
선거권자:18세 이상 (2007.6.4 이전 출생자) 국민
사전투표소는 가까운 주민센터나 공공기관에 설치되며,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또는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▼사전투표소 확인하기클릭▼
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
선거통계시스템 작업 안내 선거통계시스템의 안정적 서비스를 위한 서버점검 작업으로 일부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 ☞ 작업일시 2023. 9. 26.(화) 18:00 ~ 9. 27.(수) 09:00
info.nec.go.kr
저도 내일당장 사전투표를 하러갈 생각인데요 !!
사전투표는 유권자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, 민주주의 가치를 실현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. 나의 투표가 사회를 바꾼다는 자부심을 갖고, 소중한 한 표를 미리, 편리하게 꼭 행사해보세요. 그리고 꼭 신분증 지참은 필수 입니다!!
오늘은 사전투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다음에 또 유용한 정보로 만나요~~


댓글